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영재교육원
- 4101
- 5086
- 5586
- 정보보호 영재교육원
- BoB 후기
- BoB 7기
- text
- 영재원
- Python
- 차세대 보안 리더 양성 프로그램
- Best of the Best
- 11943
- 10995
- boj
- 리뷰
- 정보보호 영재원
- 11109
- 1547
- 2605
- 2501
- 2965
- acmicpc
- BOB
- 10833
- 2476
- EOF
- 2506
- 차세대 보안 리더 양성
- 공주대 정보보호
- Today
- Total
목록프로그래밍_일반 (360)
짱해커가 되어보자
문제 N개의 카드 덱이 있으며, N을 맨 바닥으로 1부터 N까지 정렬되어 있다 이 때 마지막 한 장이 남을 때 까지, 맨위에 있는 카드는 제거, 그 밑 카드는 맨 아래로 옮기는걸 반복했을 때 마지막 남은 카드의 번호는 무엇인지 묻는 문제이다 입력 : n(N : 1 ~ 500,000) 출력 : 풀이 l, n = [0, 1, 2, 2] + [0] * 499997, int(input()) for i in range(4, n+1): l[i] = l[i-1] + 2 if(i-1 == l[i-1]): l[i] = 2 print(l[n])
문제 N개의 수를 입력받아 다음의 결과를 출력한다 산술 평균 중앙값 최빈값 : 여러개 있을 경우 두 번째로 작은 값 범위 : MAX - MIN * N은 홀수로 제공 n : N(1 ~ 500,000) 입력 : n(N : 1 ~ 500,000), (-4,000 ~ 4,000) 출력 : 조건 1,2,3,4 풀이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n = int(sys.stdin.readline()) l = sorted([int(sys.stdin.readline()) for _ in range(n)]) l_c = Counter(l).most_common() print( round(sum(l)/n), l[n//2], l_c[0][0] if n == 1 or l_c[0][1..
문제 입력받은 n개의 숫자에서 소수의 갯수를 출력하는 것이 목적이다 입력 : n(N : 1 ~ 100), n에 대한 (1 ~ 1,000) 출력 : 풀이 def cp(n): if(n == 2): return True if(n
문제 n1개의 숫자 리스트(l1)를 입력받고, n2개의 숫자 리스트(l2)를 받는다 여기서 l2의 각 숫자들이 l1에 존재하면 1, 없으면 0을 출력한다 입력 : n1(N : 1 ~ 100,000), n1에 대한 (N N N ...), n2(N : 1 ~ 100,000), n2에 대한 (N N N ...) 출력 : n2에 대한 \n 풀이 딕셔너리 형태로 존재하는 값들을 체크하여 이후 들어오는 값들로 그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였다 l, n1, l1, n2, l2 = {}, input(), input().split(), input(), input().split() for i in l1: l[i] = 1 for i in l2: print(1 if i in l else 0)
문제 x, y에 대한 좌표를 n개만큼 입력받은 후 y, x 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문제이다 * 이전의 11650 문제와 동일하나 정렬 우선순위가 x,y에서 y,x로 변경되었다 입력 : n(N : 1 ~ 100,000), n에 대한 x, y(N : -100,000 ~ 100,000) 출력 : n에 대한 풀이 l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int(input()))] for i in sorted(l, key=lambda e: (e[1], e[0])): print(i[0], i[1])
문제 x, y에 대한 좌표를 n개만큼 입력받은 후 x, y 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문제이다 입력 : n(N : 1 ~ 100,000), n에 대한 x, y(N : -100,000 ~ 100,000) 출력 : n에 대한 풀이 l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int(input()))] for i in sorted(l, key=lambda e: (e[0], e[1])): print(i[0], i[1])
문제 회원들이 나이와 이름을 순서대로 주어준다. 이를 나이순, 가입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것이 목적이다 입력 : n(N : 1 ~ 200), n에 대한 출력 : n에 대한 풀이 람다식의 정렬로 문제 풀이를 시도하였는데, 시간이 상당히 많이 나왔다. 이를 나이에 따른 리스트를 생성한 후 입력받은 것을 넣어주고 출력하는 방법이 속도면에서 좋을 것 같다 l = [input().split() + [i] for i in range(int(input()))] for i in sorted(l, key=lambda e: (int(e[0]), e[2])): print(i[0], i[1])
문제 N명을 대상으로 (kg, cm)을 입력받고 덩치의 순위를 매긴다 A(kg) > B(kg) and A(cm) > B(cm) 조건을 만족해야 덩치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입력 : 사람 수 n, n에 대한 KG CM 출력 : 입력받은 순서대로의 순위 (N N N ...) 풀이 전수 조사를 통해 순위를 출력하였다. 나보다 큰 사람이 몇 명있는가 l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i in range(int(input()))] for i in range(len(l)): r = 1 for j in range(len(l)): if(l[i][0] < l[j][0] and l[i][1] < l[j][1]): r += 1 print(r, end=' ')
문제 최대공약수,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문제 입력 : a, b (N : 1 ~ 10,000) 출력 : N\nN 풀이 def gcd(a, b): while b: a, b = b, a%b return a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gcd(a, b), int(a*b/gcd(a, b)), sep='\n')